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학교 개학 대비 전염병발생 주의당부
  • 작성일2004-08-23
  • 최종수정일2012-09-20
  • 담당부서홍보TF
  • 연락처043-719-7113
■ 질병관리본부는 각급학교의 개학이 다가옴에 따라 시·도 보건위생과장 회의를 개최하여 “늦여름 및 초가을 전염병예방 대책”을 점검하였으며, ■ 개학을 앞둔 학생과 국민들에게 전염병예방을 위한 개인위생수칙 준수 등을 당부하였음
 
■ 주요전염병의 발생추이 분석 및 예측 
    ● 수인성전염병 및 집단식중독 
        - 장티푸스와 세균성이질 등 주요 수인성전염병은 ‘01년 봄의 유행이후 큰 변동 없이 소규모 환자가 연중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구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년간(명) 5~9월(명) 년간(명) 5~9월(명) 년간(명) 5~9월(명) 7월현재 5~7월 콜레라 162 159 4 3 1 
        - 7 6 세균성이질 928 31(3%) 767 77(10%) 1,118 467(41%) 136 80 장티푸스 401 151(38%) 221 90(41%) 199 85(43%) 122 55 파라티푸스
          36 24(67%) 413 34(8%) 88 17(19%) 18 4 장출혈성대장균 11 9(81%) 8 6(75%) 52 45(87%) 15 14
        - 집단식중독은 ‘02년 이후 매년 발생건수와 환자수가 증가하는 추세임 ·3~6월의 봄철 발생이 많으며, 한여름(7월)보다는 늦여름~초가을
          (8~9월)의 발생이 많음 ·개학과 더불어 집단식중독 발생사례 증가가 우려됨 구 분 2002년 2003년 2004년 건수 환자수 건수 환자수 건수
          환자수 6월 5 210 19 1,501 36 2,626 7월 7 353 5 88 12 437 8월 12 188 17 364 9월 10 292 28 951 

    ● 콜레라 발생율 증가
        - ‘04년도 동남아지역 해외여행객에 의한 콜레라환자 및 기내 오수에서의 발생이 현저히 증가 구분 ‘00년 ‘01년 ‘02년 ‘03년 ‘04.8월현재 
           환자수(명) - 162 4 1 9 기내오수(건) 3 5 4 - 8 자연환경계(건) 1 3 5 - 6 
    ● 태풍·집중호우로 인한 수해발생 및 콜레라 - ‘03년 8월말~가을철의 경우 한차례의 집중호우(8.23-27)와 태풍 “매미”의 영향으로 전국에서
       수해 발생
        - 올 가을에도 1~2차례의 태풍·집중호우가 예상됨
        - 해외유입 콜레라 사례가 증가하고 비독소형이기는 하지만 연안해수 및 갯벌의 V. cholerae 균 검출사례가 예년에 비해 늘어났음 ·높은
          해수온도와 낮은 염분농도(하천수 유입지점, 홍수 이후)는 V. cholerae 균 증식에 호조건을 형성 
    ● 유행성눈병 - 표본감시결과 유행성각결막염은 7월 넷째주부터 경북,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으며, 급성출혈성각결막염은 8월
        둘째주부터 수도권, 충남,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음
        - ‘03년의 경우 각급학교 개학 이후 9월초~중순에 유행성눈병이 크게 유행하였으며, 올해도 유행이 확산될 위험이 있음 주 전염병명 24주
           25주 26주 27주 28주 29주 30주 31주 32주 유행성 각결막염 11.6 12.2 13.2 12.4 14.5 15.8 21.5 23.6 31.2 급성 출혈성 결막염 1.6 1.3 1.5 
          1.2 1.2 3.2 7.8 10.5 28.8 

■ 늦여름 및 초가을 전염병예방 중점추진 대책
    ● 학교집단급식 수인성·식품매개성질환 예방·홍보 강화(식중독 포함) 
        - 개학을 전후한 각급학교의 급식시설 및 종사자 위생관리 강화
        - 교내 간이급수시설의 식수에 대한 염소소독 처리(0.2ppm이상 유지)
        - “손씻기 생활화” 등 개인위생수칙 집중 홍보

    ● 설사환자 감시체계 강화 - 125개 응급실 감시체계 및 47개 감염전문가 네트워크 가동
        - 전국 병·의원, 약국 등 모니터기관(19,430개소) 운영 

    ● 수해지역 수인성전염병 발생 사전예방
        - 상습침수지역 사전파악 및 방역소독약품 비축·공급체계 점검 
        - 관할구역내 간이급수시설에 대한 염소소독 실시 등 안전한 식수공급체계 유지
        - 수해발생시 일일보고체계 가동 

    ● 콜레라 발생예방을 위한 관리 강화
        - 콜레라 보초감시 운영체계 강화 
        - 콜레라 발생 우려지역 감시 강화 ·집중관리지역, 해안지역, 기타지역
   
    ● 말라리아·일본뇌염 예방 강화
        - 병원소 제거를 위한 가축 사육장 등 위험 지역의 살충소독, 물웅덩이 및 늪지대 등 모기 서식처의 제거 등 위생관리 철저 
        - “모기에 물리지 않기” 홍보 철저
        -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자(만6세, 만12세)중 접종누락자에 대한 예방접종 실시
        - 일본뇌염 환자발생에 대한 의료기관 감시 및 보고철저 당부 

    ● 유행성눈병 확산 방지
        - 학생, 학부모, 교직원을 대상으로 “손씻기”, “수건공동 사용금지” 등 개인위생수칙 집중 홍보 

■ 대국민 당부사항 
    ● 수인성전염병 예방을 위하여
        - 손씻기의 생활화
        - 안전이 확보된 음용수만을 섭취
        - 충분히 가열 조리된 음식만을 섭취
        - 설사환자 있을시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치료하도록 함 

    ● 유행성 눈병 예방을 위하여 
        - 손씻기 등 개인위생 철저
        - 손으로 눈 만지지 않기
        - 수건 등 개인물품 공동사용하지 않기
        - 인파가 붐비는 곳, 특히 수영장 출입 삼가 

    ● 일본뇌염 예방을 위하여
        - 아동은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필히 맞도록 함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 물웅덩이 및 늪지대등 모기서식처의 접근을 피함
        - 야간활동시 긴바지 및 긴소매옷 착용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