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지난해 급성전염병은 감소, 신종전염병은 증가관련 보도자료
  • 작성일2004-08-25
  • 최종수정일2012-09-20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9

■ 질병관리본부가 25일 발표한 <2003년 전염병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라리아, 홍역 등 급성전염병은 2000년을 정점으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등 신종전염병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이와 같이 전염병이 감소한 이유는 2000년부터 전염병 감시가 강화되고 말라리아, 홍역에 대한 국가 퇴치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기 때문임
    ●반면 신종전염병은 대부분 동물유래 감염병으로 브루셀라증,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등이 아직은 작은 규모이나 급격히 늘어나고 있음

■ 특히, 지난해는 집단 급식, 패스트푸드 소비증가 등 식생활패턴의 변화로 수인성전염병인 세균성이질의 집단발병이 증가함

■ 가을철 야외활동에 의해 주로 감염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은 1998년 이후 증가추세에서 다소 주춤하고 있으나 계속 상당규모로 발생하고 있음 

■ 또한, 해외여행 증가로 수인성전염병, 말라리아, 뎅기열 등이 동남아지역을 중심으로 다수 유입되고 있음

■ 이에따라, 질병관리본부는 국내외 전염병 모니터링 강화를 위해 전염병 감시체계를 전자문서(EDI)에서 웹 기반으로 전환하고, 전염병발생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유행 시작 전에 주의보를 발령하는 한편, 해외 여행객에게 전염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해외여행전염병정보센타」를 검역소에 설치하고자 함
 
■ 급성전염병 발생 추이
    ● 급성전염병은 1960년대 대유행 이후 백신접종, 보건위생 향상 등으로 계속 줄었으나 홍역과 유행성이하선염의 주기적 유행, 세균성이질
       증가, 말라리아 재출현 등으로 증감을 거듭하다가 2000년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추세에 있음 〈인구 10만명당 급성전염병 발생 추이〉 
       ‘98, 24.1→’99, 21.7→‘00, 93.9→’01, 66.9→‘02, 13.7→’03, 12.5 구 분 법정전염병 ’98 ’99 ’00 ’01 ’02 ’03 수인성 콜레라 0 3 0 162 4 1 장티푸스
       380 308 234 401 221 199 파라티푸스 12 11 7 36 413 88 세균성이질 906 1,781 2,462 928 767 1,117 예방접종대상 홍 역 4 88 32,647 23,060 50
       34 유행성이하선염 4,461 2,626 2,955 1,668 764 1,518 모기매개 일본뇌염 3 1 0 1 6 1 말라리아 3,932 3,621 4,142 2,556 1,799 1,171 가을철

       열성 질환 렙토스피라증 90 130 106 133 122 119 쯔쯔가무시증 1,140 1,342 1,758 2,638 1,919 1,415 신증후군출혈열 215 196 203 323 336 392
       기타 신종법정전염병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 1 11 8 52 비브리오패혈증* - - 21 41 60 80 레지오넬라증* - - 0 2 1 3 브루셀라증* - -

       0 0 1 16 뎅기열* - - 0 6 9 14 보툴리누스중독증* - - - - - 3 
    ● 주요 전염병 연도별 발생 추이 - : 법정전염병 지정 전으로 보고자료 없음 * : 2000.8월 이후 신규 지정된 전염병(보툴리누스중독증은 2002년
        5월 신규 지정)

■ 수인성전염병은 연중 집단으로 자주 발생 
    ● 세균성이질 등 수인성전염병은 외식문화, 패스트푸드 소비증가, 집단급식 등 식생활패턴 변화로 대규모 집단발병이 증가추세를 보임
        -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던 것이 연중 발생하는 양상을 보임
※ 미국도 연간 18,000건의 세균성이질이 신고 되고 있으나 미CDC는 이의 20배인 36만건 정도는 발생할 것으로 추정 
    ● 장티푸스는 최근 매년 200∼400명 정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토착성 전염병으로 2003년에는 199명이 보고되어 전년대비 약 10% 감소
    ● 파라티푸스는 매년 환자가 산발적으로 발생했으나 2002년 부산지역의 집단발병(312명)으로 413명이 발생했고 2003년에는 88명의 환자가 
        보고되었음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2003년 소아신장학회를 중심으로 감시활동을 강화하여 52명의 환자가 보고되었으며 대부분 6∼7월 서울, 경기지역
        에서 발생하였음 
    ● 비브리오 패혈증은 매년 급증하고 있어 지난해는 80명의 환자가 보고되었고 이중 37명이 사망하였음
        - 6월부터 시작하여 주로 8, 9월에 발생하며 전남,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음
        - 고위험군인 만성간질환자, 신부전, 당뇨병 등의 질환을 가진 40대 이상(96%)의 남자(5.7배)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음 

■ 소아 예방접종 대상 전염병은 전체적으로 크게 감소 
    ● 홍역은 전염력이 강하여 95% 이상의 예방접종률을 유지할 때 퇴치할 수 있는 전염병으로 2000년(32,647명)과 2001년(23,060명)에 크게 유행
        하였으나 2001년 실시한 일제예방접종사업과 취학 아동의 예방접종증명서 제출 의무화로 2002년 50명, 2003년 34명의 환자만이 발생하였음
※ 홍역은 2005년까지 퇴치할 계획임 
    ● 유행성이하선염은 1998년에 대 유행이 있은 이후 줄어들기는 했으나 지난해 1,518명이나 발생했음 

■ 말라리아는 최근 3년간 매년 30~40%씩 감소 
    ● 말라리아는 모기매개 전염병으로 1980년대 이후 국내감염환자가 없었으나 1993년 재출현한 이후 2000년 4,142명이나 발생하는 등 기하급
       수적으로 증가하였음 
    ● 그러나 1999~2000년 퇴치사업을 실시하고 2001년에는 북한에 대하여 말라리아 방역사업을 지원한 결과 매년 30~40% 씩 감소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1,171명이 발생하였음
※ 2010년까지 말라리아를 퇴치할 계획임 

■ 가을철 발열성질환은 꾸준히 발생 
    ● 쯔쯔가무시증은 1998년 이후 증가추세를 보이다 2001년 2,638명을 정점으로 다시 감소했으며 지난해는 1,415명이 보고됨
        - 주로 10 ~ 12월 사이에 97%의 환자가 보고되었으며 충남, 전남, 전북 지역에서 많이 발생함 
    ● 렙토스피라증은 1999년 이후 매년 100명 이상 발생하고 주로 9 ~ 11월 사이에 전남, 전북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50대 이상 남성에서 
       주로 발생하였음
    ● 신증후군출혈열은 1998년부터 200명 전후가 발생한 이래 2001년부터는 300명 이상이 대부분 10월∼1월에 발생하고 충남, 전북, 전남 지역에
        서 많이 발생하였음

■ 인수공통전염병을 중심으로 신종전염병은 증가추세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1998년 국내에서 첫 환자가 확인된 이후 2000년 1명(법정전염병 지정 이후), 2001년 11명, 2002년 9명이 보고되
       었으며 2003년에는 감시 강화로 52명이 보고되었음
 ※ 미국은 연간 1만~2만명 환자가 발생하여 100~200명이 사망하고 일본은 매년 2000~4000명의 환자가 보고되기도 함
    ● 브루셀라증은 소에서 감염되는 전염병으로 2002년 10월 국내 첫환자가 보고된 이후, 목축업 종사자 등 고위험집단을 중심으로 2003년에는
        전북 등에서 16명의 환자가 보고되었음
    ● 레지오넬라증은 2001년 이후, 매년 1~3명의 환자가 보고되고 보툴리누스중독증은 2003년 국내최초로 대구 일가족 3명에서 발생함 

■ 해외유입전염병 
    ● 국외감염후 국내로 유입되는 환자는 2001년 97명, 2002년 73명, 2003년 107명이 질병별로는 콜레라 1명, 장티푸스 10명, 파라티푸스 11명,
        세균성이질 6명, 말라리아 64명, 뎅기열 14명 등이 보고되었음 
    ● 사스, 조류인플루엔자 등이 동남아에서 맹위를 떨쳤으나 철저한 검역과 감시, 방역활동으로 유입을 조기에 차단함 구분 2001년 2002년 2003
        년 환자수(명) 주요 유입 국가명(명) 콜레라 3 2 1 필리핀(1) 장티푸스 13 11 10 인도(4), 인도네시아(3), 사이판(1), 태국(2) 파라티푸스 5 4
        11 인도(4), 인도네시아(5), 태국(1), 네팔(1) 세균성이질 10 10 6 필리핀(1), 인도네시아(2), 태국(1), 베트남(1), 파키스탄(1) 홍역 - 1 1 베
        트남(1) 말라리아 57 33 64 아프리카(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모잠익, 카메룬, 케냐, 탄자니아), 아시아(방글라데시, 싱가폴,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등) 성홍열 - 1 - 태국 뎅기열 6 9 14 인도(1), 인도네시아(3), 태국(1),
        캄보디아(4), 필리핀(4), 방글라데시(1) 리슈마니아증 - 1 - 아르헨티나

〈참 고〉
■ 「전염병통계연보」는 2001년 이 후 발간되고 있으며, 전염병감시정보망(EDI 시스템)에 의해 24시간 전국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계 처리한 것임 
■ 질병별 상세 정보는 전염병정보망(http://dis.mohw.go.kr)/일반자료실을 통해서도 제공됨 주요 전염병 연도별 발생현황 단위 :환자수,명 연 도 질 병 명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전년대비 증감 제1군 콜레라 0 3 0 162 4 1 -75% 페스트 0 0 0 0 0 0 0% 장티푸스 380 308 234 401 221 199 -10% 파라티푸스 12 11 7 36 413 88 -79% 세균성이질 906 1,781 2,462 928 767 1,117 46%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 1 11 8 52 550% 제2군 디프테리아 0 0 0 0 0 0 0% 백일해 8 2 28 9 21 5 -76% 파상풍 3 4 16 8 4 8 100% 홍역 4 88 32,647 23,060 50 34 -32% 유행성이하선염 4,461 2,626 2,955 1,668 764 1,518 99% 풍진* - - 107 128 24 8 -67% 폴리오 0 0 0 0 0 0 0% 일본뇌염 3 1 0 1 6 1 -84% 제3군 말라리아 3,932 3,621 4,142 2,556 1,799 1,171 -35% 성홍열 115 109 68 49 54 107 98% 수막구균성수막염 13 3 4 11 27 38 41% 레지오넬라증* - - 0 2 1 3 200% 비브리오패혈증* - - 21 41 60 80 33% 발진티푸스 0 0 0 0 0 0 0% 발진열 28 33 40 16 9 9 0% 쯔쯔가무시증 1,140 1,342 1,758 2,638 1,919 1,415 -26% 렙토스피라증 90 130 106 133 122 119 -3% 브루셀라증* - - 0 0 1 16 1,500% 탄저* - - 0 0 0 0 0% 공수병 0 1 0 1 1 2 100% 신증후군출혈열 215 196 203 323 336 392 16.7% 제4군 뎅기열* - - 0 6 9 14 56% 리슈마니아증 - - 0 0 1 0 -100% 보툴리누스중독증* - - - - 0 3 ※ 2000년 8월 이후 전염병예방법 개정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신고한 신고일 기준, 의증환자를 포함한 통계임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