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쯔쯔가무시증 감염주의
  • 작성일2004-11-03
  • 최종수정일2012-09-20
  • 담당부서홍보TF
  • 연락처043-719-7113
■ 질병관리본부는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이 예년에 비해서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염 주의를 당부하고 전국 보건기관에 예방활동을 강화할 것을 지시하였음 
    ● 고위험군(농부, 야외작업자, 군인) 예방 수칙
        - 긴 팔, 긴 바지 착용
        - 기피제 사용 
        - 따뜻한 물에 샤워
        - 작업복 세척
        - 조기 진단과 치료 
    ● 의료기관은 발열 환자 진료 시 쯔쯔가무시증 확인 및 신고 철저

■ 질병관리본부는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에 물려서 발생하는 제3군 법정전염병인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이 예년에 비해서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염 주의를 당부하고 전국 보건기관에 예방활동을 강화할 것을 지시하였음
    ● 감염 위험군(농부, 야외작업자, 군인)은 예방 수칙을 준수 
    ● 의료인은 발열 환자 진료 시 쯔쯔가무시증 확인 및 신고 철저

■ 환자 발생 양상 
    ● 최근 5년간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추이는 2001년 2,638명이 발생한 이후 2년 연속 감소하였으나, '04년 들어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 10월말 현재 1,525명의 환자가 신고 되어 전년 동기 대비 123.6%가 증가하였음 
       < 표 > 최근 5년간(2000-2004년) 환자발생 추이 (단위: 명, %) 구 분 ‘00년 ‘01년 ‘02년 ‘03년 ‘04년 연간 발생 환자수 1,758 2,638 1,919 1,415
       - 전년대비 - (△50.5) (▽27.3) (▽26.3) - 10월말 기 준 환자수 586 1,031 1,019 682 1,525 전년대비 - (△75.9) (▽1.2) (▽33.1) (△123.6) 
    ● 시·도별로는 경상남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의 환자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그림 > '04년 10월말 현재 지역별 쯔쯔가무
        시증 환자발생 현황

■ 환자 발생 증가의 원인과 전망 
    ● 질병관리본부는 올 해 환자 발생이 증가한 이유는 여름과 가을의 기온이 예년에 비해 높아서 쯔쯔가무시증을 사람에게 전파하는 털진드기
        의 활동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라고 밝혔음
        - 온대지방인 우리나라는 가을철에 털진드기의 번식이 가장 활발하고 겨울이 되어 추워지면 동면을 하는데 활동 주기는 토양의 온도와 습도
          에 크게 영향을 받음 
        - 올해의 경우 여름철에 이상 기온이 계속되었으며, 9월의 태풍과 9~10월의 높은 기온의 영향으로 털진드기의 번식이 활발해진 것으로 보
          임 
    ● 질병관리본부는 11월 들어 기온이 다소 하강하더라고 토양의 온도는 천천히 떨어지게 되고, 비닐하우스는 높은 온도가 계속되기 때문에
        11월말~12월초까지 환자 발생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였음

■ 감염 위험 요인과 예방 방법
    ● 쯔쯔가무시증에 감염될 위험이 있는 경우는 털진드기가 기생하는 들쥐가 서식하는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은 사람임
        - 우리나라는 야산에 있는 밭 주변의 관목 숲이 위험 환경임
        - 따라서 밭일을 하는 농부와 야외작업자, 군인들이 위험 집단에 해당함 
    ● 쯔쯔가무시증 감염 예방을 위한 주의 수칙은 다음과 같음
        - 긴 팔, 긴 바지 착용 : 밭일 등 야외 작업을 할 때 반드시 긴 바지, 긴 팔 옷을 입고 바짓단은 양말 속에 넣어 털진드기의 유충이 몸으로
          기어오르지 못하게 하여야 함
        - 진드기 기피제 : 작업을 하기 전에 옷 위에 벌레 기피제를 뿌려서 털진드기의 유충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여야 함
        - 따뜻한 물에 샤워 : 몸에 기어오른 털진드기는 한 동안 몸에 붙어 있기 때문에 작업을 마친 후에는 따뜻한 물과 비누를 이용한 샤워를 
         해서 털진드기를 제거하여야 함
        - 작업복 세척 : 작업복은 그대로 다시 입지 말고 세척을 해서 옷에 붙어 있는 털진드기를 제거하여야 함
        - 조기 진단과 치료 : 쯔쯔가무시증은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면 쉽게 치료가 되지만 단순 감기약으로는 낫지 않기 때문에 야외 작업
          후 열이 나면 반드시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여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