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제2군] 풍진
  • 작성일2008-03-03
  • 최종수정일2012-08-0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5

- 병원체
Togaviridae과의 Rubivirus속의 rubella virus - 전파양식 감염자의 비인두 분비액의 비말(공기)이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선천성풍진 증후군에 걸린 소아는 고 농도의 바이러스를 배출하므로 중요한 감염원이 된다.

- 증상 및 증후
풍진은 미만성의 소반점상 구진을 동반하는 경증 열성바이러스 감염증이다. 때로 발진이 홍역이나 성홍열과 유사하게 나타나기도 하며, 구내점막진도 나타난다. 발열은 보통 2~3일간 계속되고, 발진은 3~5일간 나타나다 호전된다. 발진이 나타나기 5~10일전부터 수 주간에 걸쳐 후두부, 후경부와 귀뒤의 림프선종창이 나타나는 것 이 특징적인 임상양상이다. 소아에서는 무증상 감염이 많다. 성인에서는 미열, 두통, 권태감, 비염이나 결막염 의 전구증상이 발진이 나타나기 1~5일 전부터 나타나며, 증상이 심해지기도 한다. 발진은 20~25%에서는 나타나 지 않기도 하고, 약 반 수에서는 발진없이 지나간다. 백혈구는 감소하며, 혈소판 감소도 나타나지만, 출혈 경향을 보이는 것은 드물다. 관절통도 있으나 관절염은 드 물고 주로 성인 여성에서 나타나며, 뇌염은 소아보다 성인에서 흔히 합병된다. 선천성 풍진 증후군(congenital rubella syndrome) : 풍진은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적 으로 중요한 감염증 중 하나이다. 임신 초기에 산모가 처음 감염되면 태아의 90%에서 이러한 증후군이 발생하지 만, 임신 16주에 감염되면 0~20%에서만 발생하고, 임신 20주 이후에는 드물다. 자궁내 사망이나 유산, 또는 저체중아의 출산, 심장 기형, 뇌성마비, 청력 장애, 백내장, 소안증이나 녹내장, 뇌수막염, 지능저하, 간비종 대 등이 주요한 임상상이다. 또한, 인슐린의존형 당뇨병의 합병률이 높다. 대개 태어나자마자 발견되지만 가벼 운 경우에는 수개월에서 수 년 후에 발견되기도 하고, 불현성 감염에서도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 다.

- 진단 및 치료
임상적으로 진단하는 것은 때로는 부정확하며, 젊은 여성, 특히 임산부에서는 혈청학적 확진이 추천된다. 연 속하여 채취한 혈청(제1회는 가능한 한 이른 시기, 2번째는 2~3주일 후)에서 CF,HI시험, ELISA법 등을 이용하 여 항체가의 4배 이상 상승으로 진단할 수 있다. 감별 진단에는 홍역이나 성홍열, 기타 유사한 발진이 나타나 는 돌발성 발진, 전염성 발진증, 전염성 홍반 등이 있다. EB바이러스 감염증에서도 발진이 나타나는 일이 있 기 때문에 감별할 필요가 있다. 선천성 풍진 증후군은 IgM 항체의 검출로 확진가능하고, 초음파를 이용한 천자액으로PCR을 시행하면 태내 진단 도 가능하다. 바이러스는 생후 1년간 인두나 소변에서 검출될 수 있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 환자 관리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는 환자를 격리실에 옮기고 면역력이 없는 임산부와 접촉을 막는다. 또한, 특히 임신 초기 산모와의 접촉력에 대해서 조사한다. 접촉자에서 백신 접종이 반드시 감염을 방지하지는 않는다. 병원이 나 의료기관에서 감염 기회는 증가한다. 따라서, 임신을 고려하고 있는 가임기 여자 직원이 항체를 보유하고 있 지 않다면 백신접종을 받아야 하며, 산부인과 근무자는 반드시 풍진 항체 양성자여야 한다.
 
- 예방
일회의 생백신 접종으로98~99%에서 평생 면역을 획득할 수 있다. 백신접종 후 일부 접종자의 비인두에서 백 신바이러스가 분리되지만 전염력은 없으며, MMR백신의 일부로써 투여된다. 백신의 금기증은 유행성 이하선염의 경우와 같다. HIV 감염의 경우에는 면역억제 상태가 아니면 접종할 수 있다. 가임기의 여성에 대해서는 10대 라 하더라도 백신접종시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미국에서 임신 직후 혹은 임신 초기에 백신을 맞은 산 모로부터 태어난 200명 이상의 신생아를 관찰한 결과 백신바이러스에 의한 기형은 하나도 발생하지 않았다. 임 신중에 감염되면 선천성 풍진 증후군의 위험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한 후에 임신을 계속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 하게 한다. 임신 초기에 백신을 접종한 경우 아직까지 백신에 의한 선천성 풍진 증후군은 발생하지 않지만, 최 종적 판단은 산모에게 맡긴다. 임신초기 감염원에 폭로된 후에 면역 글로블린을 투여해도 감염 자체나 바이러스 혈증을 막을 수는 없지만, 증상을 변형 혹은 경감시킬 수는 있다. 때로는 20mL 정도의 대량 면역 글로블린요법 이 행해지기도 하지만, 그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 예방 접종
예방접종은 생후 12-15개월과 4-6세에 시행한다
 
- 전염병 신고
1) 신고범위 : 환자(선천성풍진증후군 포함), 의사환자(선천성풍진증후군 포함)
2) 신고시기 : 즉시 신고
3)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① 선천성 풍진 : 선천성 풍진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검체(인두 흡인물, 소변, 뇌척수액, 결막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 특이 IgM 항체 검출 - 예방접종에 의한 항체 상승이 배제되고 풍진 특이 항체가 모체항체가보다 높거나 모체 항체가 소실되는 시기 이후에 양성인 자
② 출생 후 감염된 풍진 : 풍진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검체(비인두 흡인물, 혈액, 소변, 뇌척수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특이 IgG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특이 IgM 항체 검출

○ 의사환자
① 선천성 풍진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선천성 풍진임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 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② 출생 후 감염된 풍진 :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풍진임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 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