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12.4.월.행사시작(10시)이후] 질병관리청 주관 한·일·중 감염병 예방관리 포럼 및 공동심포지엄 개최
  • 작성일2023-12-04
  • 최종수정일2023-12-04
  • 담당부서국제협력담당관
  • 연락처043-719-7760


질병관리청 주관 한·일·중 감염병 예방관리포럼 및 공동심포지엄 개최 


- 미래 팬데믹 대비·대응과 항생제 내성관리를 주제로 3국간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방안 논의

- 몽골 감염병센터, 국내 학계 인사도 참여하여 호흡기 감염병, 매개체 감염병 등의 현황 및 대응방안 논의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3년 12월 4일(월)~12월 6일(수), 3일간 제17차 한·일·중 감염병 예방관리포럼과 한·일·중 공동심포지엄을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와 질병관리청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일·중 감염병 예방관리포럼은 동북아 3국의 감염병 관리기관*이 감염병 유행을 대비하여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06년 이후 매년 이어져 온 행사이며, 한·일·중 공동심포지엄은 3국의 보건 관계자뿐 아니라 제3국, 다부처, 유관 학계가 참여하여 다양한 정보를 나누고 토론하기 위한 취지로 2018년부터 진행해왔다. 

  * 한국 질병관리청,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 중국 질병관리본부


  이번 행사는 ▲한·일·중 감염병 예방관리포럼과 ▲한·일·중 공동심포지엄, 각 기관장 간의 ▲양자회담으로 구성되며, 한·일·중 감염병 예방관리포럼에는 한국·일본·중국의 보건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3국의 ‘판데믹 대비·대응 및 항생제 내성 관리’를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진다.


  한·일·중 공동심포지엄은 한·일·중 보건 관계자 외에 몽골 보건부 감염병센터와 국내 예방의학 및 감염학회의 보건 전문가들도 참여하여 ▲진드기 및 매개체 감염병 예방관리 및 원헬스 기반의 감시체계, ▲코로나19 이후 호흡기 감염병 현황 및 감시체계, ▲홍역 퇴치 및 결핵을 포함하여 국가별 관심주제에 대한 발표 및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 기간 중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일본 타카지 와키타(Takaji Wakita) 국립감염병연구소장과 양자면담을 갖고 향후 ▲판데믹 대비를 위한 인력 개발, ▲예방접종 현황 및 이상반응, ▲매독 현황 및 관리체계 등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중국 홍빙 센(Hongbing Shen) 질병관리본부장과는 질병관리청과 중국 질병통제센터간 양해각서(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체결한다. 


  2019년에 체결한 양해각서가 2024년 만료 예정임에 따라 양 기관장의 만남을 계기로 갱신하여 체결키로 했다. 동 양해각서는 ▲보건 위험평가, ▲항생제 내성, ▲신·변종 감시 및 실험실 역량강화, ▲예방접종 시행 및 백신 연구·개발을 양기관의 기존 협력분야*에 추가하며 새로운 의제**에 대해서도 폭넓게 협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기존 협력분야) ▲감염병 감시, 예방 및 관리,  ▲긴급대응·대비 및 보건 안보, ▲만성질환 감시, 예방 및 관리, ▲양측 공통 관심사의 공동혁신 및 연구 프로그램 지원, ▲공중보건 인력훈련 및 역량강화, 다른 국가들과 협력을 통해 전 세계 공중보건 능력 강화 


** (신규 협력분야)  ▲보건 위험평가, ▲항생제 내성, ▲신·변종 감시 및 실험실 역량강화, ▲예방접종 시행 및 백신 연구·개발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이번 제17차 한·일·중 감염병예방관리포럼 및 한·일·중 공동심포지엄을 통해 감염병에 대한 각국의 의견을 나누고 대비 대응 전략을 모색함으로써, 3국의 감염병 관리기관 간 긴밀한 공조체계를 굳건히 하고,

한국, 일본, 중국의 3국과 아시아 지역을 넘어 글로벌 보건 안보를 강화하는데 한걸음 다가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붙임>  제 17차 한·일·중 감염병 예방관리포럼 및 심포지엄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