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근육이완을 포함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이 농촌 여성노인들의 혈압, 운동빈도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
  • 작성일2010-10-15
  • 최종수정일2012-08-2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근육이완을 포함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이 농촌 여성노인들의 혈압, 운동빈도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combined to relax therapy in blood pressure, frequency of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in rural district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Ⅰ. 들어가는 말
  노인인구의 증가로 우리나라는 2000년 이미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로 진입하면서 노인세대의 건강과 복지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건강의 문제는 노인인구의 부양 부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 노인은 질병 발생 유형이 만성질환 중심으로 변화되며,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감소와 더불어 생리적 예비 능력의 저하로 유연성과 탄력성이 감소된다. 이러한 결과로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떨어지고 손상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들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신체적 기능을 유지·개선시켜 체력증진은 물론 여러 질병으로부터 벗어나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며[2], 고령화사회 의료의 비용절감 대안으로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노인들은 획일적인 반복운동에 대한 지루함으로 인해 운동지속이 어려워 즐거움을 동반하고 운동에 대한 기대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운동방법이 필요하다[3]. 현재 노인들의 건강 체력의 문제와 관련된 고령화 추세는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하여 농촌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농촌의 체육활동 여건이 도시에 비하여 현저하게 낙후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농업인의 체력 수준이 도시인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4]. 아울러 농촌 노인들은 도시 노인들보다 규칙적인 운동을 함에 있어 시간부족, 신체적 불편감, 가족지지 및 장소와 파트너 부족 등의 방해요인들이 보고된 바 있다[5]. 이러한 농촌 노인들에게 있어 운동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가지의 특화된 운동보다 쉽게 따라할 수 있고, 일상생활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종목을 선별하여 복합운동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4]. 또한,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력과 근지구력이 약화되어 있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 시 근저항운동을 포함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골밀도를 높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6]. 또한, 노인에서 근육이완요법은 긴장을 완화시키고 교감신경계 활동을 감소시켜 생리적,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감소시키는 기술로[7] 여성노인들은 남성보다 평균 수명이 길어 홀로 생활하는 기간이 길고, 부양해 줄 가족이 없어 신체적 질병, 배우자의 죽음, 경제적 상태의 악화 및 소외와 고립으로 인한 정서적인 측면의 문제로 인해 이를 포함시키는 것도 필요하다[8].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농촌 여성노인에게 운동을 시행한 후 체력에 미치는 효과들에 대한 연구들이 시행되어 왔으나[9-10],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운동의 효과는 대부분 8-24주 정도의 기간에 대한 것으로, 장기간의 효과를 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농촌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이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고 가정에서도 실시 가능한 근육이완을 포함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혈압, 운동빈도 및 체력에 미치는 장기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Ⅱ. 몸 말
  여성 노인들에게 근육이완을 포함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혈압, 운동 빈도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J도, 4개의 면 보건소를 통해 공지된 운동 프로그램에 12개월 동안 참여한 여성 노인 7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5.5세였으며, 대상자들이 진단받은 만성 질환은 근골격계 질환이 33명(45.2%)으로 가장 많았고, 심혈관계 질환 30명(41.1%), 위장관계 질환 12명(16.4%), 내분비계 질환 10명(13.7%)으로 나타났으며, 비뇨기계 질환과 우울증이 각각 1명(1.4%)이었다.
  측정도구에서 대상자의 체력은 Rikli와 Jones의 Senior fitness test manual에 의하여 제시된 노인체력 검사항목을 이용하여 상지근력, 하지근력, 전신지구력, 상지유연성, 하지유연성, 정적평형성 및 동적평형성을 측정하였으며[11], Inbody 3.0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및 근육량을 측정하였다. 혈압은 대상자가 앉은 상태에서 청진기와 혈압계를 사용하여 상완동맥에서 측정하였으며, 운동빈도는 1주일   동안 30분 이상 운동을 몇 번이나 시행하는지를 물어 응답한 회수로 측정하였다.
  실험처치로 시행한 운동 프로그램은 임상운동사 자격을 갖춘 연구자와 노인 운동지도사 자격을 갖춘 연구원 4인이 프로그램 진행 장소를 방문하여 오전, 오후로 프로그램 일정표를 계획하여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에 사전모임을 통해 운동 프로그램을 연습하였고, 필요한 물품들을 준비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준비운동 10분, 이완요법 15분, 저항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 총 50분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Table 1과 같다. 프로그램은 주 2회 총 12개월간 시행하였다. 준비운동으로 관절의 무리가 없는 정적 스트레칭을 10분 시행한 후 마사지를 통한 이완요법을 15분 적용하였다. 이때 마사지의 강도는 피시술자가 느끼기에 매우 편안한 느낌으로 근막을 이완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로 실시하였다. 저항운동은 Duncan, Richards와 Wallace(1998)가 제안한 운동프로그램을 본 연구 알맞게 수정하여   6대 관절 중심으로 자각인지도(RPE: rating perception of effort) 3-4의 강도(보통-다소 힘듦)로 탄력밴드(Thera-band; Hygenic Co., USA)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움직임에서 연결동작까지 이루어 낼 수 있도록 전신 저항 트레이닝을 20분 시행하였다. 본 운동 후 정리운동으로 스트레칭을 5분간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수축기 혈압은 프로그램 전보다 시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이완기 혈압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산소 운동이나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 등을 시행한 후에 수축기나 이완기 혈압의 감소를 보이고 있어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12]. 본 연구에서 농촌 노인들의 경우 농번기와 농한기의  프로그램 참여 정도, 신체활동상태의 차이가 매우 크며, 특히 혈압은 생활습관의 변화에 민감하게 작용하므로 이 프로그램에 따른 이완기 혈압의 큰 변화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13].
  운동 빈도는 운동 프로그램 시행 후 프로그램 전보다 6개월 후에 증가하였으며, 이후 다소 감소하였지만 프로그램 전에 비해서는 증가하였다. 본 운동 프로그램 중의 마사지 형태로 많이 진행되는 근육 이완은 운동참여의 동기를 높이고자 포함하였는데, 연구결과에서처럼 6개월 이후에 다시 운동 빈도가 감소한 것은 농촌 노인들에서는 운동에 대한 인식이 낮고, 농사일이 곧 운동이라고 생각하는 견해가  많으며, 계절에 따른 운동실천의 편차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Table 2). 

  체력의 결과에서는 대부분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체지방률이 감소한다는 보고와는 달리 체지방률이 증가하였다[14]. 이는 농촌 노인에서 영양과잉 상태보다는 영양결핍 상태가 많고, 운동 프로그램이 생활습관을 규칙적으로 변화시켰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노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동기부여와 개별 체력측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한 운동 프로그램의 설계로 노인의 개인별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근력에 있어서는 본 운동 프로그램에서 상지와 하지의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의 횟수가 증가되어 하지근력의 증가를 보였다. 최근 3년간의 농촌지역 노인의 낙상 실태 조사  연구에서 대상자의 약 43%가 낙상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듯이, 노인의 하지근력은 보행능력이나 균형능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노인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하지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이 필요하다고 하겠다[15]. 또한, 2분 제자리 걷기를 통해 본 전신지구력은 프로그램 전보다 12개월 후에 증가하였으며, 하지유연성도 12개월 후에 증가하였다. 다른 연구에서도 에어로빅을 적용한 시니어로빅, 유산소 운동이나 세라밴드를 이용한 근력운동 후 유연성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는데[16-17], 이러한 운동들은 스트레칭을 포함하고 있어 노인에서 낮은 강도의 스트레칭만으로 유연성의 충분한 효과를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자의 평형성에서도 눈 뜨고 한발 서기의 정적 평형성이 프로그램 6개월 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정적 평형성도 하지근력과 마찬가지로 낙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낙상의 중요 예측요인이기에[18], 지속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정적 평형성의 향상으로 노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Table 3).

  노인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화에 따른 체력의 저하로 인해 작업이나 운동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운동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노인들에게 있어서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지 않고 있으며, 운동에 대한 부적응 및 탈락률이 높다. 본 연구가 농촌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단일군 연구로 모든 농촌 노인들에게 일반화하는데는 제한점이 있으나, 본 연구의 운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자각인지도에 따라 강도를 조정하여 진행하였으며, 가볍고 간편한 탄력밴드를 가지고 시행하여 가정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농촌 여성노인들이 규칙적으로 시행한다면 체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삶을 보다 활기차게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Ⅲ. 맺는 말


  본 근육 이완을 포함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은 농촌 여성노인들의 수축기 혈압의 감소와 운동 빈도의 증가 및 체력의 부분적인 향상을 보였다. 이는 취약한 농촌 여성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긍정적인  효과로써 대상자의 건강실천 행위의 변화를 통해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가 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의료 이용의 감소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운동 프로그램들이 집단 프로그램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어 노인의 신체적인 특성에 따른 개별맞춤형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 참고문헌

 1. 정경렬, 김사엽, 최준호, 박기덕. 운동강도에 따른 8주간 근력강화 운동이 노인여성들의 신체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08;
     16(3): 199-206.
 2. 강상조. 한,일 간 건강관련체력의 노화시점 및 노화계수의 비교. 한국체육학회 2007; 46(1): 1-10.
 3. 방현석, 김재구, 홍예주. 단계적 저항운동과 걷기 및 운동중지가 여성노인의 평형성과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008;
    16(1): 57-65.
 4. 김창균, 김혁출, 이만균. 12주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농촌 노인의 심폐기능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2008; 47(4):
     377-387.
 5. 은영, 김주현, 김증임, 김희자, 김현숙, 오진주, 구미옥, 송미순.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건강행위 방해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04;
     21(1): 531-544.
 6. ACSM.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ion(8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10.
 7. Synder M.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an analysis. Advanced Nursing Science 1984; 6(3): 47-58.
 8.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9. 김공, 조정권, 이중철,배종진, 박재용,이동헌, 김한수. 농촌 고령노인들의 근육이완요법을 병행한 저항운동이 신체구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2006; 17(5): 195-203.
 10. 한윤수, 최정현.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008; 28(4): 941-952.
 11. Rikli RE, Jones CJ. Senior fitness test manual. Urbana-Champaign, IL: Human Kinetics. 2001.
 12. 김남익, 김영일, 최건식,김창규.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이 고령 여성의 심혈관계 및 견관절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2001; 40(2): 547-557.
 13. Dumas MA. Reversing the tide of metabolic syndrome. Nursing management 2003; 34: 1-5.
 14. Poehlman ET, Dvorak RV, DeNino WF, Brochu M, Ades PA.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and endurance training on insulin sensitivity in nonobese,
       young women: a controlled randomized trial.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0; 85(7): 2463-2468.
 15. Wolfson L, Judge J, Whipple R, King M. Strength is a major factor in balance, gait, and the occurrence of fall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1995; 50: 64-67.
 16. 변영희, 최경숙. 시니어로빅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적 기능과 낙상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 2009; 21(1): 13-22.
 17. 신미경, 신수진. 체력에 따른 그룹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지각된 건강 상태,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8; 20(4): 613-625.
 18. Vellas BJ, Rubenstein LZ, Ousset PJ, Faisant C, Kostek V, Nourhashemi F, Allard M, Albarede JL. One-leg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al status in a
       population of 512 community-living elderly persons. Aging 1997; 9(1-2): 95-98.

이 글은 성인간호학회 2009년 21권 5호에 실린 논문을 편집한 것이며,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송민선 교수님께서 작성하셨습니다.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