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결과보고서
detail content area
결과보고서[2014년도-심혈관희귀질환과] 폐경여성의 호르몬치료 효과 연구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 소관부서 심혈관희귀질환과
- 연구기관 삼성서울병원
- 연구자 윤병구
- 관련 검색어
요약
연구배경 및 목적: 수명 증가에 따라 폐경 여성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경 여성의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폐경 호르몬치료는 폐경 증상 완화
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뼈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이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사망률의 감소 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양성적 효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기대되지만, 호르몬치료의 음성적/양성적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아 호르몬치료 적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여성에서의 연구 결과가 부족한 상황이다. 호르몬치료의 효과는 인종과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치료의 음성적/양성적 영
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이를 위한 연구 프
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내용: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1) 폐경 호르몬치료에 대한 국내외 현황 및 자료를 수
집하여 연구에 필요한 주제 및 성과 지표를 도출, 2) 도출된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모형
을 개발하고, 연구를 위한 프로토콜을 개발, 3) 연구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
하는 것이다. 문헌 고찰에 기반하여 자문연구단과의 협의를 통해 연구가 필요한 주제를
선정하였고, 이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다학제 위원회를 구성하였
으며, 선정된 주제를 개발된 모형에 맞게 수행하기 위한 연구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의 광범위한 자료를 검토하여 자문연구단 및 발주부서와 긴밀히 협의
한 결과 유방암을 일차 연구목표로 선정하였고,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정신심리건강, 폐
경증상을 이차 연구목표로 선정하였다. 또한 현 시점에서 실행가능한 최선의 연구 모델
로 환자-대조군 연구가 선정되었다. 연구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을 위해 연구대상 기준,
모집 방법, 측정 항목, 표본 수 산출, 통계 분석 방법 등이 제시되었고, 환자증례지, 연
구대상자 동의서, 참여연구원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연구 시행을 위한 예산을
산출하고, 향후 연구 진행을 위한 연구 일정표를 작성하였다.
기대효과: 본 연구과제의 결과물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호르몬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폐경 여성의 건강 관리를 위한 기초, 임상
및 중개 연구의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여성에서 호
르몬치료의 음성적/양성적 효과에 대한 자료가 확보되면 호르몬치료 증대를 통한 건강
수명 증가와 의료 비용 감소에 기여하는 궁극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