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결과보고서
detail content area
결과보고서 [2014년도-심혈관희귀질환과]보건의료연구 성별 영향 분석
- 소관부서 심혈관희귀질환과
- 연구기관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연구자 백희영
- 관련 검색어
요약
1. 연구 목적: 보건의료분야 연구에서 성별과 젠더를 고려한 연구 방법의 도입을 통해
성별에 따른 차이를 바르게 분석하고, 성별과 젠더 차이를 고려한 보건의료연구의 방향
을 점검하여 건강 정책 특히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2. 연구 방법: 국제적으로 진행되는 과학기술의료 젠더 정책 방향과 보건의료연구 젠더
혁신 사례를 검토하여 이를 우리나라 현실에서 필요한 과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진 회
의, 외국의 젠더 혁신 전문가를 초청하여 연구진 워크샵을 개최하여 국제 동향에 대한
지식 및 자문을 확보함. 또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하여 젠더 혁신 및 성․젠더 분석에 대
한 이해를 높이고, 보건의료분야의 성․젠더 정책 방향을 논의함. 성․젠더 분석이 필요한
새로운 연구 사례로 질병 및 건강 문제의 정의, 현황, 진단 방법, 기전, 위험 요인 등에
대해 체계적인 문헌 연구 및 자료 분석을 실시함. 각 주제에 적용 가능한 젠더 혁신을
위한 성․젠더 분석 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앞으로 여성 건강 연구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 건강 정책 및 사업 방안을 제안함.
3. 연구 결과: 워크샵과 토론회를 통해 보건의료연구에서의 성․젠더 관점 도입 원리와 필
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회적 인식을 높이게 되었음. 성․젠더 요소를 간과한
연구는 여성 건강 문제의 예방과 치료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
므로 젠더 혁신 분석 방법의 도입이 시급함. 이를 위해 보건의료분야에서 성․젠더 분석
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5가지 사례 - 1)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
환, 2) 류마티스 관절염과 흡연, 3)비만 진단 및 정상체중 비만, 4) 대사증후군, 5) 건강
검진 - 를 선정하고, 각 주제에 적용 가능한 성․젠더 분석 방법과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
함. 여성 건강을 위해서는 여성 고유의 질병 뿐 아니라 모든 건강 문제에서 남녀 차이
를 고려한 성․젠더 분석에 기반한 사업과 정책이 필요함.
4. 결론: 성․젠더 분석을 통해 각 질병의 발생 기전, 위험 요인, 유병률 등의 남녀 차이를
명확히 밝히고, 새로운 지식을 제공함. 또한 질병의 진단 기준을 재정립함으로써 질병
예방 지침 및 건강 정책을 적절히 마련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성별에 따라 적합한 사업
을 추진할 수 있으며, 이제까지 미흡한 여성 건강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하여 심도 깊은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사업 확대와 조직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