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결과보고서
detail content area
결과보고서 [2014년도-만성질환관리과]국가건강검진 항목 중 이상지질혈증 검진의 비용효과분석 연구
- 소관부서 만성질환관리과
- 연구기관 연세대학교
- 연구자 박소희
- 관련 검색어
요약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 혈액 내에 많은 지방성 물질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이상지질혈증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심장질환 사망률 또한 크게 증가하였음.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건강검진을 통한 이상지질혈증 검진이 실시되고 있으나 이상지질혈증의 검진주기와 질환의심기준의 적절성, 그리고 이상지질혈증 검진의 효과에 대해서는 근거가 불충분하며 지속적인 논란이 있어왔음. 또한 이상지질혈증으로 인한 관상동맥질환의 발생, 재발 및 그로 인한 사망을 통해 이상지질혈증이 야기하는 사회적 손실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뿐 아니라 국외의 이상지질혈증 검진에 대한 비용-효과성 평가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음.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자료를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고, 이상지질혈증 검진의 비용-효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국가건강검진항목으로서 이상지질혈증 검진의 질환의심 판정 기준, 검진 주기, 검진 시작 연령 등에 대한 비용-효과적인 검진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정책결정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음. 또한 자체 설문지 개발을 통하여 이상지질혈증의 민간기관 검진 현황 조사를 수행함.
이상지질혈증 검진의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핵심질문 6가지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정하였고, 이 중 이상지질혈증의 약물치료 효과에 대한 핵심질문에서는 약물치료가 관상동맥질환발생을 유의하게 감소(메타분석으로 결합된 상대위험도 HR 0.80, 95% CI: 0.74-0.86)시키고, 사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약물치료에 따른 ALT 수치 증가 등의 위해도 일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음. 이상지질혈증 검진이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줄이는지에 대한 핵심질문은 직접적인 선후관계를 보이는 선행연구는 없었으며 이외 나머지 핵심질문에 대해서도 활용 가능한 선행연구가 각 1~3개로 매우 제한적이었음.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서는 이상지질혈증 검진의 관상동맥질환 발생 및 사망률 감소의 직접적인 효과와 비용-효과성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기에 근거가 부족하였으며 근거 생성을 위해 추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이상지질혈증의 민간기관 검진현황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 현행 국가건강검진에서의 이상지질혈증 검진의 검사항목인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실제 질환의심판정을 위한 각 검사치의 절단점은 기관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지침은 대부분의 기관에서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의 지침을 따르는 것으로 보고됨.
이상지질혈증 검진의 비용-효과 분석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이상지질혈증 검진이 없는 경우 대비 현행 검진(2년 주기, 총콜레스테롤230mg/dL(중성지방 200mg/dL, LDL콜레스테롤 150mg/dL이상, HDL콜레스테롤 40mg/dL미만)과 비교하였고, 심화분석에서는 분석대안으로는 검진 주기를 1, 2, 3, 또는 4년으로, 질환의심판정 총콜레스테롤 수치 기준을 200, 210, 220, 230, 또는 240mg/dL(중성지방 200mg/dL, LDL콜레스테롤 150mg/dL이상, HDL콜레스테롤 40mg/dL미만)으로 달리 조합한 대안을 고려하여, 검진시작 연령을 20세 이상과 40세 이상으로 한 각각의 모형에서 20가지 대안을 고려하여 수행하였음. 현행 검진 대안과 비교한 결과 비검진군 대비 현행 2년 간격의 검진과 총콜레스테롤 230mg/dL(중성지방 200mg/dL, LDL콜레스테롤 150mg/dL이상, HDL콜레스테롤 40mg/dL미만)의 검진에서는 20세 이상의 경우 QALY기준 ICER 4,040만원, LYG기준 ICER 1억 7,971만원으로 사회적으로 수용가능한 범위를 벗어났으며, 40세 이상 검진 시작 모형에서는 QALY기준 ICER 4,980만원, LYG기준 ICER 1억 3,643만원으로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범위를 벗어남. 따라서 현행 국가건강검진 중 이상지질혈증 검진은 비용-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음. 그러나 앞서 명시한 20가지 대안을 함께 고려한 심화분석 결과 20세 이상/40세 이상 모형에서 모두
총콜레스테롤 절단점이 200 mg/dL이상이며 검진주기가 4년, 3년 1년 주기인 검진이 우월대안으로 선택되었으며, QALY와 LYG의 효과지표간 우월대안의 우선순위의 차이는 없었음. 이 중 특히 20세 이상/40세 이상 모두 총콜레스테롤 200mg/dL이상과 4년 주기의 검진 대안에서 ICER가 가장 낮았으며, 20세 이상의 경우 QALY 기준 ICER는 약 2,821만원(LYG 기준 1
억 432만원)으로 비용-효과적인 대안으로 선택되었으며, 40세 이상의 경우 QALY 기준 ICER 약 3,011만원(LYG 7,449만원)으로 QALY기준 ICER는 모두 비용효과적이었음. 따라서 국가건강검진 중 이상지질혈증의 검진은 20세 이상/40세 이상 모두 주기를 2->4년 간격의 검진이 더 우월한 대안으로 나타났으며, 총콜레스테롤의 절단점을 230->200mg/dL로 낮추는 대안이 국가적차원의 비용을 더 낮출 가능성을 시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