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main contents Go to main menus

연구성과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결과보고서한국 HPV 코호트 연구

  • 소관부서 바이러스질환연구과
  • 연구기관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 연구자 김태진
  • 관련 검색어 코호트 연구

요약

인유두종바이러스(HPV)는 자궁경부의 암화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HPV 지속감염이 암전구단계인 상피내종양 발생에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자궁경부암으 의 진행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HPV 감염 실태 및 감염 양상의 변화, 감염에 작용하는 역학적 인자에 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HPV 감염을 분석하기 위한 전향적 코호트를 구축을 통해, HPV 감염과 비정상 Pap의 변화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차적으로는 HPV 감염과 비정상 Pap에 관여하는 생체 지표 및 역학적특성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2016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3차년에 걸친 본 연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6개 의료기관을 통한 전국적인 다기관 연구이며 서울성모병원과 제일병원을 시작으로 계명대 동산의료원, 고려대 구로병원, 부산 인제백병원, 강남 차병원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상기 연구 기간 동안 1,490명의 신규 등록과 1,046명의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2.코호트 대상자의 역학적 분석 결과, 연구 기간 내의 신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이 39.4세이었으며, 대학교 졸업(63.2%), 비흡연자(83.5%), 음주자(73.5%)군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HPV 지속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흡연한 그룹에서 1.12(95%CI=0.62-2.00), 흡연하지 않은 그룹에서 12% 높은 위험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Pap상 progression, unchange, regression을 보이는 비율은 각각 15.2%, 16.3%, 68.5%였으며, HPV 지속감염, 기회감염, 감염소실을 보이는 비율은 각각 28.9%, 24.3%, 40.3%였다. 즉, ASCUS 또는 LSIL과 같은 비정상 Pap 소견을 보이면서 HPV 감염에 양성이더라도 절반 이상의 경우에서 Pap 결과가 정상으로 보이게 되며, 15.2%에서만 Pap 결과가 더욱 악화되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HPV 감염에 양성 소견을 보인다 하더라도, 추적 관찰 중 약 40%에서 HPV가 소실되는 결과를 알 수 있다. 약 40% 에서는 HPV 감염이 다소 일시적인 기회감염 양상을 보이며, 30% 정도 지속감염을 보인다는 결과를 얻었다.
4. Pap 결과가 progression을 보이는 비율은 HPV 지속감염, 기회감염, 감염소실 환자군에서 각각 55.9%, 24.8%, 5.6%였고, Pap 결과가 regression을 보이는 비율은 HPV 지속감염, 기회감염, 감염소실 환자군에서 각각 18.2%, 23.9%, 54.5%로 비례하게 증가하였다. 마찬가지로, HPV 지속감염을 보이는 비율은 Pap 상 progression, unchange, regression일 때 각각 30.1%, 23.8%, 46.1%였고, HPV clearance를 보이는 비율은 progression, unchange, regression일 때 각각 2.1%, 5.4%, 92.5%로 비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정상 Pap의 악화와 HPV 지속감염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5. 생물자원은 혈액검체는 1,466명의 plasma(5,086 vials), serum(2,833 vials), buffy coat(2,906 vials)과 자궁경부세포 추출 DNA는 현재 1,466명(13,219 vials)의 DNA를 추출 보관하였다. 앞으로 연구과제에서 구축된 HPV 코호트를 통하여 HPV 지속 감염 또는 자궁경부암 발생 위험 요인 분석을 통한 자궁경부암의 일차예방을 위한 지침마련 및 HPV 감염자 관리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궁극적으로 HPV 감염 치료제 및 치료법 개발 등에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