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결과보고서
detail content area
결과보고서환자 안전을 위한 방사선관계종사자 의료방사선 인식개선 시범사업
- 소관부서 의료방사선과
- 연구기관 한국방사선의학재단
- 연구자 이삼선, 정승은
- 관련 검색어 의료방사선, 인식개선, 맞춤형 교육
요약
본 연구는 국내 의료방사선 장치의 다양성과 이용 중가 추세에 맞추어 이에 의료방사선에 종사하는 종사자도 매년 증가함에 따라 선진국 수준으로 의료방사선 안전관리 역량을 향상하고자 수행하였고 합리적인 의료방사선 안전 정책을 수립하고 종사자의 의료방사선 안전관리 역량과 교육 개선을 통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 치과는 그 특성상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방사선발생장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치과에서 근무하는 모든 직군이 방사선관계종사자이다. 이번 연구에서 치과의사, 방사선사, 치과위생사로 교육대상을 나누어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환자가 의료기관에서 질문하는 다빈도 질문에 대한 설명용 교육자료를 추가로 제작하였고, 향후 방사선 안전 관리 교육 일선에서 업무를 수행할 영상치의학 전공의용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 2018년도에 개발된 자료를 교육을 하면서 부족한 점 등을 업데이트 하고 추가로 3개 더 개발하였으며 디자인을 통일하였다.
- 다양한 직군 및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 전 후 설문조사 시행 및 결과 분석
개발한 교육자료를 이용한 교육에서 모든 직군에서 교육 전/후 인식수준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 제 2회 Korea Safe Imaging 심포지엄의 개최
올해 Korea Safe Imaging 심포지엄의 주제는 의 치대 학생때부터 알아야 할 방사선안전관리로 현재 의료에서 매우 중요한 의료영상 부분에서 방사선 안전관리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지금까지 잘 인식하지 못했던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협회에서도 중요성을 공유하여 내년도에는 학생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
- 치과의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설문지는 치과의료기관에서 방사선장비를 사용함에 있어 최소한의 갖추어야 할 시스템을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안전관리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인식의 부재가 만연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통하여 앞으로 안전관리 인식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반이 될 것이다.
- 장기적 로드맵 작성
올해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향후 인식개선을 위한 발전방향을 장기적 로드맵으로 작성하였다. 특히, 의료기관 내 종사자뿐만 아니라 처방을 내는 의사에 대한 장기적 계획, 의사나 치과의사가 될 학생들에 대한 교육 등의 중요성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은 실행방안을 고안하였으며 향후 이를 기반으로 인식개선 활동을 진행하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