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main contents Go to main menus

연구성과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결과보고서장기이식코호트 구축 및 운영(3단계)

  • 소관부서 생명정보연구과
  • 연구기관 (재)한국장기이식연구단
  • 연구자 안규리
  • 관련 검색어 신장, 간, 심장, 폐장, 췌장, 이식

원문보기

요약

생명 연장, 삶의 질, 비용 효과와 같은 장기이식의 장점은 서구의 자료를 통하여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시아 인종이나 우리나라 환자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상황으로, 지역적

혹은 인종적 다양성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과거 전국 규모의 장기이식 성적을 수집하고자 노력하였던 후향 KOTRY 연구를 계승하여, 새로이 전향적 장기이식 코호트인

KOTRY가 2014년부터 개시되었고 2단계 연구는 2017년부터 시작하였습니다. KOTRY는 신장, 간장, 심장, 폐장, 췌장의 5개 장기이식환자를 등록하고 있다. 인구학적 정

보, 동반질환, 조직적합성, 조직형 및 패널 항체와 같은 검사 정보, 약물 농도와 종류 등의 면역억제제 정보, 이식편 거부 반응, 이식 후 감염, 심혈관 질환, 악성 종양과 같은 이식

후 정보 및 공여자의 동반 질환이나 생체 공여자의 이식 후 성적 등이 수집되고 있습니다. 자료 수집은 정기적인 연간 추적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혈액 샘플이 이식 전 및 이

식 후 1, 3 년 째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자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정기적인 연구 간호사 교육을 수행하고 전자 자료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자료의 개선을 위한 피

드백을 연 2회에 걸쳐 발행하고 있으며, 매년 기관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70개 센터가 KOTRY에 참여 중이며, 해마다 약 2,000 건 이상의 이식을 등록하고
있다. 이번 결과보고서에는 2014년 출범 이후 2018년 12월 31일까지 등록된 8,600 수여자- 공여자에 대한 기저 자료 및 추적 자료를 분석하여 보고하였습니다. KOTRY 는 체계적인 아시아 장기이식 코호트로서 아시아 장기이식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OTRY 의 설립 절차는 새로운 아시아 국가의 장기이식 코호트를 출범하는 데에 있어 좋은 모범 사례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