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결과보고서
detail content area
결과보고서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 2일조사 지원 및 일상섭취량 산출
- 소관부서 건강영양조사분석과
-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 연구자 이정은
- 관련 검색어 국민건강영양조사 일조사 일상섭취량 모델
요약
1.연구 목표 및 필요성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일 간의 식품섭취조사를 실시하여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고 있으나 이는 일상적인 섭취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여 영양섭취 부족 및 과잉에 대한 과대평가의 가능성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인내 섭취 변이를 파악하기 위해 식품섭취조사를 일 추가하여 식품섭취조사
를 일 반복 실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조사인력을 지원하고 통계 모델을 구축하여 일상섭취량을 산출하고자 함
2.연구내용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일 조사 수행을 지원하고 일상섭취량 산출 통계 모형을 이용하여 일상섭취량을 산출함 차년도에는 식품섭
취조사 영양조사원 인을 지원하고 식품섭취조사 조사자료 처리 및 정제를 지원함 차년도에는 일상섭취량 산출을 위한 통계 모형을 고도화하고 일상섭취량
산출을 위한 일 조사자료 분석 및 국외 모형을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영양소 및 식품군의 일상섭취량을 산출함
3. 연구결과 : 일 식품섭취조사 시 영양조사 인 인력을 지원하였고 이를 통해 세이상 명의 일 식품섭취조사를 완료함 식품섭취조사자료를 검토하여 오류를
수정하고 정제하는 일을 지원함 모형 이항분포 으로 섭취여부 확률과 상관계수를 추정하는 재표집 기반 일상섭취량 산출
모델을 구축함 년과 년의 일 자료로부터 일상섭취량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추정하고
영양소와 식품군의 일상섭취량을 산출함 전반적으로 본 연구진이 발한 모델을 이용해 산출한 일상섭취량과 일치 섭취량의 평균은 비슷하였으나 일 섭취량에 비해 일상섭취량 분포의 정밀도가 향상되었음 모델로 추정한 일상섭취량을 이용하여 분포를 파악한 결과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일치 자료만 이용할 경우기준치 미만 인구의 비율이 과도하게 추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음
결론 및 제한점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영양섭취량 분포 산출을 위해서 일치 영양조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음 본 연구진이 개발한 일상섭취량 산출
모델은 국민의 영양수준 파악 건강정책 수립 영양역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음 국민의 식품 및 영양 섭취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일상섭취량 산출이 중요하
므로 지속적으로 일상섭취량 산출 모델을 고도화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