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main contents Go to main menus

연구성과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결과보고서생물안전관리(책임)자 대상 온라인교육 개발

  • 소관부서 생물안전평가과
  • 연구기관 국제백신연구소
  • 연구자 이경민
  • 관련 검색어 생물안전교육, 고위험병원체, 생물안전위원회, 유전자변형생물체

원문보기

요약

신변종 병원체가 등장하고 병원체를 생물무기로 사용할 위험성이 대두되며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이중적 사용에 대한 가능성이 증가하면서 실험자가 비의도적인 유출 및

획득감염에 대해서도 우려되므로 국제사회에서는 생물 위해로부터 생물안전과 생물보안을 확보하기 위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외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국가 관리

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법률과 정책이 강제성을 보이는 거시안적 접근이라고 한다면 생물안전교육은 병원체를 취급하고 보유하는 실험자들에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직적인 생물안전과 생물보안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국내외 연구환경이 변화하고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이하 감염병예방법)」과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유전자변형생물체법)」통합고시 등, 국내 생물안전 시설과 관련한 법제도가 재개정 되면

서 기존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서 제공하던 온라인 교육의 세부내용이 최신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기존 생물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고위험병원체

및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취급하는 생물안전 1, 2등급 시설을 운영하는 기관의 생물안전관리책임자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법정교육을 시행 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교육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안전 1, 2등급(고위험병원체 및 유전자변형생물체 취급) 시설 운영 기관의 생물안전관리책임자 및 관리자 대상으로 법정교육 시행을 위하여 온라

인 교육 개발 하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서 생물안전 1, 2등급 관리자 온라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나, 2020년부터는 기존 과정을 새로운 인터넷 환

경(HTML5 코딩 등)에서 구현 불가하므로 신규 개발 필요하여 생물안전 교육 콘텐츠를 새로운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생물안전 1, 2등급(고위험병원체 및 유

전자변형생물체 취급) 시설 운영 기관의 생물안전관리책임자 및 관리자 대상으로 법정교육으로 총 10개 차시를 구성하였다. 또한 온라인 교육과정 운영 효율화를 위해서 차

시별 문제은행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온라인 교육 콘텐츠는 전문가 집단에게 자문을 통해서 검토하여 적절성을 높였으며 해당 교육과정은 생물안전관리(책임)자 법정교육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