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C형간염바이러스(HCV)코호트
- Date2019-05-15
- Update2021-11-18
detail content area
HCV 코호트
사업목적
다기관 코호트 운영을 통해 국내 만성 C형 간질환 환자를 장기간 추적 관찰하여 한국형 C형 간질환의 자연 경과, 간암발생의 위험요인, 전파경로 및 예후를 파악하고. 예방하고자 함
추진 배경 및 현황
수행배경 및 필요성
- C형 간염 바이러스는 감염 시 만성화율이 70-80%로 높으며 병원체가 확인된 이후 현재까지 효과적인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한 상황임. HCV에 의한 간질환 코호트를 운영하여 중, 장기 추적 조사를 통하여 확보한 HCV의 분자역학적 분석 결과는 국내 C형 간염 연구 인프라 강화에 필요함
- 최근에 유전자형 1형 HCV 감염에서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결과 IL-28B 유전자에 존재하는 SNP에 따라 치료반응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각 민족마다 유전적 특성에 따라 병의 경과와 치료반응에 차이가 다른데 우리나라 사람들에서의 연구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 C형 간염은 주로 성인에서 감염되어 나이가 증가할수록 C형간염 유병률이 증가하고 또 병의 진행도 나이가 많을수록 가속화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급속히 노령화 사회에 들어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노인층에서의 치료전략을 구비할 필요가 커지고 있음
연구개발 내용
- 급만성 C형 간질환 환자의 다기관 코호트 운영 (서울, 경기, 부산, 전라권 임상병원 포함)
- 등록환자의 장기간 추적 관찰 및 유지 관리
- 한국형 C형 간질환의 자연경과, 간암발생의 위험요인 분석, 전염경로 파악 및 예후 분석
- 위험요인 분석 결과를 반영한 간암의 조기 검진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
- 이미 C형 간염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 구축
- 간기능, 임상소견 및 치료방법에 따라 간경변이나 간암으로의 진행정도 비교, 분석
- C형 간염의 원인적 분류에 따른 자연경과 및 예후 조사, 분석
-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효과의 차이 비교
- HCV 감염관련 임상 연구 및 생물학적 위험요인 규명
참여기관
분당서울대병원, 부천순천향대병원, 인제대부산백병원, 전북대병원, 화순전남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인제대일산백병원, 충남대학교병원, 계명대동산병원
사업수행체계
